Category: Wordpress

  • ServerName

    워프프레스를 잠깐 nginx 에서 사용했었다. 그러다 apache로 다시 돌아 왔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다만 기본 홈페이지는 리버스 프록시 등의 설정이 편하기 때문에 nginx 로 서버를 설정했다. 그런데 워드프레스의 경우 헷갈리는 경우가 생길 것 같아서 아파치를 이용해 보기로 했다. blog.welovedoctor.com 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만 처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설정을 찾아보았다.

    데미안의 기본 아파치 설정 파일 중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파일은 apache 설치 폴더의 ports.conf 파일이다. 이 파일에서 다음의 내용을 추가하면 blog.welovedoctor.com 으로 접속하는 경우에만 워드프레스 페이지가 응답한다.

    Listen 80
    ServerName blog.welovedoctor.com
  • NGINX

    이번에는 apache 대신에 nginx 를 이용해 보기로 했다. 우선 기본적인 설치에서 특별한 사항은 없다. Debian 특유의 과한 설치 과정으로 인하여 apache가 또 설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recommend install packages는 빼고 설치하도록 해야 한다.

    apt install --no-install-recommends php php-fpm php-mysql
  • Visual Link Preview

    페이스북에서는 잘 되지만 워드프레스에서 잘 되지 않는 것으로 url 을 넣을 때 이미지가 잘 안뜬다는 것이다. 나는 한 번에 성공한 적이 한 번도 없는 것 같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플러그인을 알아보는 도중 티스토리 블로그 중에서 유용한 플러그인을 알게 되어서 설치해 보았다. 정말 페이스북과 같은 형태로 삽입할 수 있어서 편하다.

  • 워드프레스 Cloudfront

    워드프레스 Cloudfront

    왜 내가 AWS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Ireland 리전을 선택했는지는 아직도 모르겠다. 아마, 신청 당시에 무료 사용은 Ireland였기 때문에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고 굳이 빠른 서비스를 위해서 인근 지역을 선택할 이유는 없었기 때문이다.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나 그림 파일이 있을 경우 미묘하게 느리게 뜨는 기분이 든다. 실제로 거리가 있으니 그럴 것이다. S3를 이용하면서 CDN도 이용해 보기로 했다. 개인 블로그이니 만큼 사용료가 그렇게까지 비쌀 것 같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사용한 플러그인은 Amazon AWS CDN이다. IAM을 통하여 별도의 사용자를 추가하면 잘 되는 것 같고, S3 사용자에 추가하는 식은 잘 안되는 것 같다.

    CDN 서비스는 HTTPS로만 제공이 된다. 나의 경우에는 Let’s Encrypt의 인증서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럴 경우 cloudfront.net 도메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정을 해야 한다. 적용이 성공적으로 되었다면 소스보기를 하면 cloudfront.net 으로 연결된 파일들을 볼 수 있게 된다.

    AWS의 기본 설정은 AWS origin일 경우 Cloudfront를 적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S3로 링크가 걸린 이미지 파일은 Cloudfront 적용이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