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un1114

  • 수직 histogram 그리기

    수직 histogram 그리기

    산점도와 같은 그래프 옆에 수직 방향으로 density plot이나 histogram을 그리고 싶을 때가 있다. Density plot은 지난번에 언급하였으니 이번에는 histogram을 그리는 방법으로 구글에서 찾아보았다. Histogram은 수직 방향으로 그려주는 옵션이 없기 때문에 이와 유사한 barplot을 이용한 방법이다. dplyr도 배웠으니, ggplot2도 배워야 하나 싶기도 하지만, 일단 기본 기능으로 그려보았다.

    왼쪽 그래프의 우측 margin과 우측 그래프의 좌측 margin을 0으로 두면 볼만하다.

    layout(matrix(data=c(1, 1, 1, 1, 1, 2),  nrow=1, byrow=T))
    
    par(mar=c(5, 4, 4, 0)+ 0.1)
    boxplot(
      데이터
      ,axes = F
    )
    axis(1, at = c(seq(1, 100, 10), 100), c(seq(1, 100, 10), 100))
    axis(2, at = seq(0, 1, 0.2), seq(0, 1, 0.2), las = 1)
    
    par(mar=c(5, 0, 4, 3)+ 0.1)
    barplot(hist(데이터, plot = FALSE, breaks = seq(0, 1, 0.01))$counts, axes = F, space = 0, horiz=TRUE, xlab= "", ylab="")
  • 안진 nystagmus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fullarticle/2776691

    눈동자가 뱅글뱅글 도는 현상을 안진이라고 한다.

    실제 경우를 처음으로 본 경우는 인턴 활동 때였다. 병력을 언급하면 특정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언급하지는 않겠다.

    링크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선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 아이들은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즉, 의료인이나 주위 사람들이 아이의 눈을 유심히 처다보지 않으면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안진을 고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니까 말이다.

    성인의 경우 어지러움 증이나 이미지가 흔들거리는 증상이 흔하게 동반된다고 한다. 일시적일 수도 있지만 약물이나, 뇌질환 등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원인을 확인해 보아야할 수 있다.

  • 워드프레스 S3 이용하기

    워드프레스 S3 이용하기

    기본적으로 워드프레스는 업로드한 이미지 파일을 uploads 폴더로 저장한다. 용량이 충분히 커기지 전에는 문제가 없으나, 블로그를 이사해야 할 때에는 파일 업로드 용량 제한을 확인하여 설정을 조절하거나 아니면 수작업으로 올려야 한다.

    이에 S3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관리해 보기로 하였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글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AWS의 안내이다. 플러그인도 WP Offload S3 Lite를 이용했다.

    https://lightsail.aws.amazon.com/ls/docs/ko_kr/articles/amazon-lightsail-connecting-wordpress-to-amazon-s3

    링크 내용에서 LightSail 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을 따라하면 실제로 잘 된다.

  • Tumor Mutation Burden and Cancer Treatment

    TMB에 관한 직관적인 Figure 인 것 같아서 링크를 첨부함.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oncology/fullarticle/2773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