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일전에 release된 Python 3.5.10을 설치하여 보았다.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가장 중요한 Jupyter가 실행 안된다. 그래서 다시 이전 버젼으로 돌아왔다. 직접 컴파일하는 방식의 좋은 점은 이전 버젼 폴더로 가서 다시 sudo make install 하면 돌아갈 수 있다는게 장점인 것 같다.
Author: byun1114
-
설치하기
여러 번의 삽질로 대충 설치하는 방법을 알 것 같다. 가장 편하게 설치하는 방법은 Linux에 설치되어 있는 버젼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민트의 경우에는 3.7.2인 것 같다. 우선 패키지 관리자인 pip를 설치한다. Python3으로 변경되었지만 절대 다수의 블로그에서는 pip3라고 안써둔다.
sudo apt install python-pip3
PyTorch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CPU만 사용하고, PIP, Linux 사용에 맞추면 다음과 같이 설치를 안내해준다. PyTorch를 배우기 위해 선택한 책이 일단 CPU만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이렇게 했다.
pip3 install torch==1.6.0+cpu torchvision==0.7.0+cpu -f https://download.pytorch.org/whl/torch_stable.html
pip가 아닌 pip3로 설치를 해야한다. 프로그래머들은 어디나 똑같은가 보다. 정확한 기억은 나지 않는데 이 쯤부터 PATH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ATH=/home/byun1114/.local/bin:$PATH
대표적 IDE인 Jupyter를 설치한다.
pip3 install jupyter
Jupyter의 환경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안해도 상관없는데 원격 접속을 편하게 하려면 꼭 거쳐야 한다.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이러면 .jupyter 폴더에 설정 파일이 생성된다. 편하게 접속하고자 Jupyter를 통하거나 Python에서 다음을 실행한다.
from notebook.auth import passwd passwd()
실행하면 작은 따옴표에 길다라 해시값이 생성된다. 설정 파일을 열어서 다음의 내용을 추가해준다. 그리고 작업 폴더 변경도 찾아서 주석을 없애고 적어주면 귀찮으니 가장 하단에 적어주면서 추가해준다.
c = get_config() c.NotebookApp.password ='생성문자' c.NotebookApp.notebook_dir = '/home/byun1114/data_pytorch'
원격에서 Jupyter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기본 접속 포트는 8888이다.
jupyter notebook --ip=* --no-browser
-
집에서 메인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는 사용자가 많아서 마음대로 바꿀 수가 없다. Python 설치는 쉬운데 PyTorch는 뭐가 문제인지 안된다. 내일 병원에 가서 Linux에서나 새로 설치해 봐야겠다.
-
CSS 편집
글을 쓰면서 Block에 Code를 선택해서 스크립트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런데, 정작 블로그 메인 화면에서는 구별이 잘 가지 않아서 예전에 배운 CSS를 편집해 보기로 하였다.
먼저 블로그 화면에서 보이는 것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style.css의 다음 부분을 수정해 준다. 아래쪽의 comment-content code 을 동일하게 했고, background-color와 color 를 우선 추가해 주었다. 그리고 코드를 넣었을 때 줄바꿈이 잘 보이도록 추가로 word-break와 white-space를 추가하였다.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았으나 이 2개의 옵션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만족스러웠다.
.entry-content code { font-family: Consolas, Monaco, Lucida Console, monospace; font-size: 12px; font-size: 0.857142857rem; line-height: 2; color: #66ff66; background-color: #282828; word-break: break-all; white-space: pre-wrap; }
다음으로 글 작성하는 화면에서도 변경하기 위해서는 editor-style.css를 수정해 준다. 여기서도 background-color 부분만 추가해 주었다.
code, kbd, samp, var { font-family: Consolas, Monaco, Lucida Console, monospace; font-size: 12px; font-size: 0.857142857rem; line-height: 2; color: #66ff66; background-color: #282828; }
이렇게 하면 변경된 화면을 계속 볼 수 있다. 만일 이래도 적용이 안되는 것이라면, 브라우져 캐시를 삭제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