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un1114

  • rename

    특정 폴더 내부의 파일 이름을 바꾸는 것은 어렵지 않는데, 하위 디렉토리까지 뒤져서 그 짓거리를 해야 한다면 제대로 된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인터넷을 뒤져보면 크게 mv를 이용하는 것과 find를 이용하는 것이 있다. find를 이용하는 방법이 비교적 직관적이서 이 방법으로 해보았다.

    find . -type f -iname 'arrange_0001*.*' | rename 's/0001/0000/'

    ‘.’은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되는 하위 폴더에 대한 것.
    -type f 는 파일
    -iname 은 –name과 유사하지만 대소문자 구별 안함 (insensitive)
    rename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설치해 주면 된다. rename이 여러 방법이 있는데 위에 방법으로 성공했다.

    파일명을 바꿀 때 중복 파일이 있으면 무시되고 넘어간다. 이러면 또 문제가 복잡해지고 해결도 쉽지 않다. 그래서 먼저 rename 을 이용해서 모든 suffix를 붙인 후에 파일명을 한 번 더 바꾸어 주면 된다.

  • 현기증(Vertigo) – 히치콕

    이 영화가 유명하다고 하길래 보았다. 영화 처음 경찰관이 추락하는 장면에서 조악한(?) 특수 효과만 버틸 수 있으면 스토리 진행이 재미있다. 이런 특수 효과가 여러번 나오지만 1950년대 영화에 현재와 같은 특수 효과를 기대하는게 어불성설. 남자 주인공과 여자 주인공 모두 연기를 잘 한다. 여자 주인공은 두 배역을 모두 동일인이 수행하는데 외모는 같은데 이미지가 다른다.

  • 순수이성비판 –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 임마누엘 칸트, 동서문화사, 정명오 옮김.

    즉 그건 경험으로부터 독립하여, 감각의 모든 인상으로부터도 독립된 인식이 존재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런 인식은 ‘선험(아 프리오리)’적 인식이라고 불리며, 경험적 인식과 구별된다.

    그러나 이 사상을 잘 살펴서 이를 밝히는 편이, 그것을 소용없는 짓이라고 무시하는 것보다 낫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하는 것 은 그것을 멸시한 해로운 핑계이다. -284p

    그러므로 ‘나는 생각한다’는 합리적 심리학의 유일한 텍스트이며, 이 심리학은 거기서부터 그 모든 지식을 풀어내지 않으면 안된다. – 300p

    모든 반론은 독단전, 비판적, 회의적으로 나눌 수 있다. 독단적 반론은 어떤 명제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비판적 반론은 명제의 증명에 대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독단적 반론은 명제가 대상에 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의 반대를 주장할 수 있기 위해서 대상의 본성 상태에 대한 통찰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독단적이며, 문제가 되어 있는 상태를 상대보다 잘 알고 있다고 주장한다. 비판적 반론은 명제의 가치나 무가치에 대해서 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대상을 더욱 잘 알 필요가 없다. 또는 대상의 보다 더 좋은 지식을 외칠 필요가 없다. 비판적 반론은 변명이 근거가 없음을 나타낼 뿐이지, 그것이 틀렸다는 걸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회의적 반론은 명제와 반대 명제를 같은 중요도를 가진 반론으로 보고, 그 어느 하나도 다른 쪽에 대해서 서로 독단으로서, 또 그것에 대한 반론으러서 대치시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반론은 서로 대립하는 양쪽에서 겉보기에는 정설적이며, 그래서 대상에 대한 모든 판단을 완전히 무효로 만든다. 따라서 독단적 반론도 회의적 반론도, 대상에 대해서 무언가를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주장할 만한 대상에의 통찰을 주장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비판적 반론은 다음과 같은 종류의 것이다. 즉 우리는 자신의 말을 관철시키기 위해서, 효과가 없고 단순히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뿐인 것을 가정하고 있다. 단순히 나타내어 이론을 넘어뜨리는 것이다. 그것은 그 이론에서 부당한 기반으로 걷어내고자 하지만, 대상의 상태에 대해 특별히 무언가를 결정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 327p

    그러나 우리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묻게 될 것이다 “현명하고 전능한 유일한 세계 창조자를 상정할 수 있을 것인가?” 의심할 여지없이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우리는 그와 같은 세계 창조자를 전제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하지만 그 경우, 우리는 가능한 경험의 영역을 넘어서 우리의 인식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인가? 어림도 없는 일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다만 그것이 자체로서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어떤 것 (단순한 초월적 대상)을 전제로 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자연을 연구할 때에 전제해야만 하는 세계 구조의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인 질서와 관련하여, 저 알 수 없는 존재자를, 다만 지성(경험적 개념)과의 유추로 생각한 것이다. 다시 말해 그 존재자에 근거를 둔 목적이나 완전성과 관련하여, 우리 이성의 조건에 의해, 이와 같은 체계적 통일의 근거를 포함할 수 있는 특성을 그 존재자에게 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이념은 전적으로 우리 이성 세계에 사용되는 관계에 의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이념에 절대적이고 필연적인 타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그런 존재자가 전적으로 이념에서 사유되는 존재자일 뿐임을 망각한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이 세계의 고찰에 의해서는 전혀 규정되지 않는 기초에서 시작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이 원리를 경험적인 이성 사용에 올바르게 적용하는 일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릴 것이다. -524p

    철학에서는, 단지 단순한 실험이나 가정의 경우 이외에는, 수학을 모방해 정의를 앞에 내걸어서는 안 된다. 철학적 정의를 내린다는 것은 주어진 개념을 분해하는 것이므로, 선행하는 것은 이들의 개념-비록 아직 혼란한 것에 지나지 않지만-이며, 불완전한 해명이 와넌한 해명에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완전한 해명에 이르기 전에, 즉 정의에 이르기 전에 아직 불완전한 분석에서 이끌어 낸 몇 가지 특징으로부터 상당한 것을 미리 추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철학에서는, 정확하고 명로한 정의는 작업의 시작보다는 오히려 작업의 끝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546p

    나는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확실하다’고는 결코 말해서는 안 되고, ‘도덕적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말해야만 한다. 즉 신과 내 세에 대한 믿음은 나의 도덕적 심정에 들어 있는 것이며, 그것 때문에 내가 도덕적 지향을 상실한 위험에 빠지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내가 그 믿음을 빼앗길 걱정도 없는 것이다. -606p

    여기에서 우리는 우리의 과업을 완성시킨다는 것, 즉 순수이성에 입각한 모든 인식의 건축술을 설계하는 것으로 만족하고자 한다. 우리는 그 작업을 우리 인식능력의 공통된 뿌리가 나뉘어 두 개의 줄기로 자라나는 곳에서 시작할 것이며, 그 한 줄기가 이성이다. -610p

    만약에 독자들이 자기가 가지고 있는 힘을 이 작은 길을 큰 길로 만들기 위해 기울여준다면 여러 세기 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일이 현 세기가 끝나기 전에 달성될 수 있을지 독자들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인간 이성의 지식욕이 늘 다루어 왔으나 헛수고로 끝난 일에서, 인간 이성을 완전히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말이다. -622p

    그리고 중요한 것은 칸트가 학생을 향해 끊임없이 되풀이했던 다음과 같은 말이다.
    “여러분은 나에게서 철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철학하는 법을 배울 것입니다. 사상을 단순히 입으로 흉내내는 법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법을 배울 것입니다.” -645p

    그의 도덕설은 ‘행복의 추구’를 도덕의 원리로 삼아서는 안되고, ‘행복을 누리기에 적합할 것’을 첫 번째 의무로 삼는 것이었다. 그에 따르면, 부, 지위, 명예 같은 이 세상의 행복은 추구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해야만 하는 의무를 다한 결과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신의 뜻에 의해 적합하게 부여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는 적합하지 않은 행복이나 지위에 있는 것은 신의 뜻에 어긋나는 일로 생각했다. – 646p

    ‘뉴턴이나 라이프니츠조차도 진리에 방해가 될 듯한 경우에는 솔직히 무시해도 지장이 없다. 자기 지성 이외의 어떠한 설득에도 따라서는 안 된다. 나는 나의 길을 갈 것이다. 그리고 어떤 것도 그것을 방해하지는 못한다.’ – 649p

    ‘더 자주, 또 더 오랫동안 성찰하면 할수록, 더욱 새롭고 더욱 큰 감탄과 경외감을 내 마음에 가득 채우는 것이 두 가지 있다. 그것은 내 머리 위의 별이 총총한 하늘과 내 마음속의 도덕법칙이다’라는 <실천이성비판>의 마지막 장에 나오는 말이야말로 칸트 철학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 658p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에서 참된 철학의 문제로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 번째는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이고, 두 번째는 ‘나는 무엇을 해야하는가?’이며, 세 번째는 ‘나는 무엇을 바라야 하는가?’이다. 말할 것도 없이 첫째 물음에 답하는 것이 <순수이성비판>의 과제였다. -700p

  • UPDATE REPLACE

    ‘해당없음’이라는 값을 빈 칸(“”)이나 다른 문자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UPDATE cdm_v2.measurement SET measurement_date=REPLACE(measurement_date, ' 해당없음', '');

    그런데 이것보다는 NULL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UPDATE cdm_v2.measurement SET measurement_id=NULL WHERE measurement_id ='해당없음';

    measurement_source_value의 전방일치로 measurement_concept_id를 3013721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update cdm_v2.measurement set measurement_concept_id=3013721 where measurement_source_value like 'B2570%'

    이것은 이해하는데 좀 시간이 걸렸다. cdm_v2.measurement를 a로 정하고, cdm_v2.measurement_concept를 b라고 한다. a의 measurement_source_value 와 b의 measurement_source_value 가 같다면, measurement_concept_id를 a로 바꾸는 것이다.

    update cdm_v2.measurement as a set measurement_concept_id = b.measurement_concept_id from cdm_v2.measurement_concept as b where a.measurement_source_value = b.measurement_source_val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