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un1114

  • 잠수네 아이들의 소문난 수학공부법 통합로드맵

    일단 이 책은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년에 걸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1학년인 딸의 나이를 고려하면 많은 부분을 다 고려할 필요는 없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부모가 자녀에게 직접 수학 공부를 시키겠다고 하면 다음의 사항을 유념하면 될 것 같다.

    우선 읽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국어가 어느 정도 된다면 영어 읽기를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해는 모든 과목에 있어 스스로 학습 능력을 키우기 위한 기초중의 기초이다.

    아이를 가르칠 때 욱하는 감정을 발산해서는 안된다.

    매일 일정하게 공부하는 수학 공부 계획은 아이와 상의해서 분량을 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렇게 정한 분량 이상으로 하지 않도록 한다. 분량이 많지 않아야 한다.

    교과서의 내용이 중요하다. 교과서를 우선 이해하여야 한다.

    수학 문제집의 경우 정답률 70% 정도가 무난하다. 이보다 높다면 상위 단계 문제집으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한 번에 여러 종류를 푸는 것보다 한 종류 문제집을 푸는 것이 좋다.

    오답 확인은 신속하게 한다.

  • 컬러 테이블 color table

    opencv도 matplotlib도 모두 color table을 이용할 수 있다.

    수작업으로 결과 값을 알아서 지정해야 할 경우에는 matplotlib이 금방 적용할 수 있었다.

    color = matplotlib.cm.get_cmap('jet', 100)

    이렇게 하면 ‘jet’에 해당하는 color 테이블 100개를 구할 수 있다.

    그 중 80번째 것을 선택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한다. 그러면 tuple 형태로 0~1 사이의 float 값으로 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color = matplotlib.cm.get_cmap('jet', 100)
    color(80)
  • 이미지 파일에 글자 넣기

    matplotlib 이나 opencv를 통해서 이미지를 보통 다룬다. 연구나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한 plot 이라면 matplotlib.pyplot을 이용한다. 그리고 plot에 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matplotlib.pyplot.text 를 이용하면 된다. 그런데 이 방법으로 figure에 글자를 보이게 하더라도 저장할 경우에는 보이지 않는다. 아마 실제 자료에는 그 결과가 반영 안되는 것 같다.

    이미지 파일에 직접 결과를 입력해서 넣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고 opencv의 putText를 이용하면 된다. 글자가 이미지 파일에 직접 삽입되기는 한다. 그런데 글꼴, 위치 지정, anti-aliasing은 좀 별로다.

            cv2.putText(fig,
                        str(...),
                        (100, 175),
                        cv2.FONT_HERSHEY_SIMPLEX,
                        7,
                        [255, 255, 255],
                        thickness=33,
                        lineType=cv2.LINE_AA
                       )
  • 하버드 100년 전통 말하기 수업

    내용은 매우 좋다. 다만, 100년 전통 때문인지 각각의 챕터마다 이야기 전개가 조금씩 다르다. 충분히 서로 독립적이며, 각각의 내용은 언제든지 읽어봐도 문제가 없을 정도이다. 그리고 그냥 눈으로 봐서만 안되고 실제 대화에 적용해 보는 방식이 더 효과적일 것 같다. 대화에 적용할 수 없다면 곱씹으면서 읽는 것이 좋겠다.

    따라서, 이 책은 도서관에서 빌려 읽기 보다 구입해서 틈틈히 봐야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