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un1114

  • EANO guidelines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ffuse gliomas of adulthood

    점점 세분화되는 것은 좋으나 이렇게 좋은 검사 방법을 항상 사용할 수 없는 병원이 있다는게 이 가이드라인의 문제인 것 같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WHO 기준이 적당히(?) 세분화 되어 있는 것이 현실적인 것 같다. 예전에는 분류가 세분화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오히려 이 것을 보고 있으면 덜 세분화된 것 같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71-020-00447-z

  • 신용 천국의 몰락, 리처드 던컨

    세계 많은 나라들이 경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지폐 발행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면 시간이 경과할 수록 많이 유통되고 있는 지폐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언젠가 한계가 있을 것이 자명한 이러한 방법을 보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대부분의 내용은 위험이 다가올 것이다라는 것을 항상히 심도 있게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내리는 결론은 미래 산업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2% 이율로 대출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3% 수익을 내면 된다는 것. 그것이 미래를 대비하는 힘이라는 것이다.

  • 리스트에서 분할하여 중복 제거하기

    R에서는 조금 쉽게 할 수 있는데, Python에서는 조금 더 복잡하게 해야 한다. 텍스트 리스트에서 일괄적으로 분할하는 split을 이용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하나씩 split으로 분할한 후에 리스트를 새로 만들고, 중복을 제거시키도록 한다.

    ii = []
    

    ii 라는 빈 리스트를 만든다.

    for i in file_A:
        ii.append(i.split('_')[0])
    

    그 다음 file_A로 만들어둔 파일 목록을 불러온다. 증례 번호가 가장 앞에 있고, 그 다음에는 언더바가 있는 구조였기 때문에 ‘_’로 분할한 첫 번째 것을 선택하여 ii에 계속 입력한다.

    ii = list(set(ii))

    set()을 이용하면 중복을 제거할 수 있고, 이 것을 다시 리스트로 만들어야 한다.

  • TRUE 와 FALSE 바꾸기

    lists 라는 목록에서 list에 해당하는 것이 있는지 알아보려면 보통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lists %in% list

    이러면 True와 False로 결과가 나오는데, 반대로 출력하게 하는 방법은 !를 이용한다.

    !(lists %in%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