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byun1114

  • 인생은 아름다워 영화를 보았다. 아내한테서 이 영화가 멋지다고 들었는데, 병원 도서관에 가니 DVD가 있어서 빌렸다. 막상 재생해서 보니까 중간중간에 재생이 안되는 부분도 있고, 다운받은 토렌트 파일이 더 선명했다. 하지만, 그 딴 화질 같은 것 보다도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아들을 위하여 노력하는 아빠, 그리고 수용소에서 아내에서 직접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에 음악이나 마이크로 장난을 치는 방법으로 알려준 남편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마지막에는 눈물이 좀 날뻔 했다.

  • 정말 오랜만에 책을 한 권 봤다. 오랜만에 보는 것이라서 짧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골랐다. ’10초 만에 이기는 보고서’라는 책으로 손정의 비서실장(?)을 지냈던 사람이 쓴 책이다. 효율적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손정의 씨에게 이야기하는 내용이 주된 것이다 보니 대부분의 내용은 경영과 관련된 것이다. 사업체의 흐름과 관련된 내용을 발표할 것이라면 이 책의 내용을 참고해서 효과적인 그래프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 PD-L1 Immunohistochemistry Assays for Lung Cancer: Results from Phase 1 of the Blueprint PD-L1 IHC Assay Comparison Project

    요즘 뜨고 있는 immune check point inhibitor는 PDL1 혹은 CTLA4를 표적으로 한다. 학회에서 들리는 정보에 의하면 PDL1이 좀 더 있기가 있고, 그 중에서도 pembrolizumab이 가장 많은 임상연구 중인 것 같다. 그런데 문제가 있는데 현재 PDL1을 대상으로 하는 약제는 4종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약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4종의 PDL1 IHC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약제와 특정 항체를 사용한 IHC 연구가 면역 치료제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stage IV 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은 PDL1의 경우에는 검사를 하면 할 수록 줄어드는 파라핀블럭이 귀해지기 마련이다.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하여 4종의 항체를 모두 확인해보는 연구가 시작되었고, 그 결과로 이 논문이 나오게 되었다. [1]  기본적으로는 4종 중 3종류의 항체는 tumor cell 의 양성인 정도가 비슷하게 나왔다. 그런데 Genetech의 Atezolizumab에 필요한 SP142 항체는 다른 3종에 비하여 tumor 양성인 비율이 낮게 나왔다. 어느 검사가 참 값을 더 잘 반영하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상대적으로 환자군을 줄어들게 만든다는 점에서 의문의 1패라고 할 수 있겠다.

    1.
    Hirsch F, McElhinny A, Stanforth D, Ranger-Moore J, Jansson M, Kulangara K, et al. PD-L1 Immunohistochemistry Assays for Lung Cancer: Results from Phase 1 of the Blueprint PD-L1 IHC Assay Comparison Project. J Thorac Oncol. 2017 Feb 1;12(2):208–22. [PubMed]
  • ALK Expression Is a Novel Marker for the WNT-activated Type of Pediatric Medulloblastoma and an Indicator of Good Prognosis for Patients

    Medulloblastoma 는 최근 WHO 분류에서 분자병리학적인 분류를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보통 이러한 분류는 mRNA microarray 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현실적으로 많은 병원에서 이런 검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면역화학검사를 기반으로 한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Medulloblastoma 의 하위 분류에 WNT pathway 와 관련된 분류가 있다. 그런데 b-catenine 은 nuclear stain 이 잘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많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다. 이 논문에서는 ALK 발현이 WNT 와 연관된 medulloblastoma와 관련있다는 내용이다. [1]

    1.
    Łastowska M, Trubicka J, Niemira M, Paczkowska-Abdulsalam M, Karkucińska-Więckowska A, Kaleta M, et al. ALK Expression Is a Novel Marker for the WNT-activated Type of Pediatric Medulloblastoma and an Indicator of Good Prognosis for Patients. Am J Surg Pathol. 2017 Jun 1;41(6):781–7. [PubMed]